2022년 12월 23일 장애 발생 공지
2022-12-23 18시(한국시간)부터 20시30분까지 DNS서버의 장애로 인하여 고객님 도메인에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되지 못하였습니다.
원인: SSL CA root certificate update fail
해결: 위 certificate update 하여 해결완료 (20시 30분경)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2년 12월 29일
2022년 12월 23일 장애 발생 공지
2022년 8월 8일
2022년 8월 5일 DNS 서비스 장애 발생 공지
안녕하세요. DNSEver입니다.
DNSEver을 이용하시는데 불편 드린점 진심으로 사과 드립니다.
2022년 08월 05일 13시 08분 경 타 대륙간 IDC DB replication 장애가 발생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었습니다.
문제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여 데이터를 복구하여 14시 58분에 시스템 복구를 완료 하였습니다.
이용 중 이시던 서비스 접속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용에 불편을 드리게 된 점 사과 드리겠습니다.
고객 여러분들께 불편을 드린 점 다시 한번 사과 드립니다.
DNSEver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년 10월 13일
2021년 10월 13일 DNS 서비스 장애 발생 공지
안녕하세요. DNSEver입니다.
2021년 10월 13일 16시 30분부터 17시 30분까지 약 1시간 가량
IDC 센터의 서비스 장애로 네트워크 장비인 백본 스위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일부 네임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용 중 이시던 서비스 접속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용에 불편을 드리게 된 점 사과 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0월 28일
티스토리 블로그의 도메인 연동을 위한 CNAME 레코드 변경
안녕하세요. DNS에버(http://www.dnsever.com) 입니다.
티스토리(http://www.tistory.com)에서 사용중인 회원님의 블로그에 대하여
2차 주소(개인 독립도메인)를 연동하려면,
도메인에 A레코드를 설정하는 방식에서, CNAME인 host.tistory.io 로 설정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만,
기존의 티스토리측 관련공지 :
http://notice.tistory.com/2341
http://notice.tistory.com/2354
2016.10.28 일 티스토리측에서
.io 도메인의 장애로 인한 2차 주소 블로그 접속 불안 안내 및 CNAME 레코드 변경을 요청하는
공지사항으로 올렸습니다.
관련공지: http://notice.tistory.com/2356
DNS에버에서는 회원님께서 직접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덜어드리기 위하여,
CNAME 및 ANAME의 목적지 레코드값을
기존 host.tistory.io 에서 blog.tistory.com 으로 변경해드렸습니다.
(DNS에버의 회원님께서는 아무런 작업을 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2월 4일
Mac, Linux용 다이나믹DNS 클라이언트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다이나믹DNS를 이용할 때 Mac이나 linux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없어서
shell script 방식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불편하였는데,
DNSEver의 이용자인 Alfred UC 님께서 Mac, Linux 용 다이나믹DNS 클라이언트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다운로드는 https://github.com/b6pzeusbc54tvhw5jgpyw8pwz2x6gs/dnsever-ddns-updater/releases 에서 하시고,
이용방법은 https://github.com/b6pzeusbc54tvhw5jgpyw8pwz2x6gs/dnsever-ddns-updater 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제작해주신 Alfred UC 님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2월 1일
wix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홈페이지 자동제작 및 호스팅 업체인 wix (http://www.wix.com)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wix.com 에서 도메인을 구입후, wix 의 네임서버 이용
2. 타 도메인등록업체에서 도메인을 구입 후, wix의 네임서버 이용
3. 타 도메인등록업체에서 도메인을 구입 후, wix와 DNS레코드 연동(포인팅)
위 3가지 방법이 있는데, 1번째/2번째 방법은 도메인의 네임서버(DNS서버)를 wix.com
의 네임서버를 써야 하는데, 네임서버를 wix.com 로 옮기기가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선택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므로, 3번째 방법(포인팅 방법)으로 dnsever.com 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wix 에 도메인을 연동하려면, wix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가입해야 합니다.
프리미엄 서비스에는 여러가지 요금플랜이 있으므로, 본인에게 적절한 요금제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 내 Wix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3. 상단메뉴에서 “프리미엄 >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4. wix 에서 도메인을 연결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도메인 설정을 삭제하십시오.
프리미엄 > 도메인 메뉴에서 “고급” 탭을 선택한 이후에 “Wix에서 도메인 제거하기”를 클릭하세요
(wix에서 도메인 설정을 한 적이 없다면, 이 단계는 무시하시면 됩니다)
5. wix에서 도메인 연결을 시도한 적이 없다면, “프리미엄 > 도메인” 메뉴를 선택하시면
“내 사이트에 도메인을 연결하세요” 라는 화면이 표시되는데,
“내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6. “내 도메인 연결하기”의 1단계 화면인 “도메인 추가” 화면에서
도메인이름, 도메인 구매 등록업체, 연결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도메인이름은 연결하고자 하는 도메인명에서 www를 제외한 이름(예: mydomain.com) 을 입력하시고
도메인 구매 등록업체란에서는 “기타”를 선택하세요.
해당 화면 아래쪽에 “연결방법: DNS(권장방법)”을 “연결방법: 포인팅”으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도메인 연결방법으로 “포인팅”을 선택할 경우에는 “WiX IP변경시 접속 장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지만, 이는 WiX에서 서버IP주소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한 메시지이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Wix 서버IP주소가 아직까지 변경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향후 변경되더라도 wix에서 사용자에게 통보할 것으로 보이고, dnsever에서는 origin도메인(www등 서브도메인이 없는 도메인)에 대하여는 ANAME기능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origin 도메인의 IP주소 변경에도 대응이 편합니다)
“연결방법: 포인팅”으로 변경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면 “다음” 버튼을 눌러 2단계로 이동합니다.
7. 2단계에서 “다음”을 눌러 3단계로 이동합니다.
8. 3단계에서 CNAME설정값을 확인합니다.
설정하고자 하는 도메인명이 mydomain.com 이라면,
www.mydomain.com 도메인 CNAME 포인팅 대상: www36.wixdns.net
와 같이 표시될 것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www36.wixdns.net 이 CNAME설정값인데, 이 값은 도메인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한 후에 이를 dnsever.com 의 DNS설정에 입력해야 합니다.
wix에서는 서브도메인이 없는 도메인명 그 자체(www가 없는 도메인,예: mydomain.com)에 대하여는 A레코드로 연동하도록 설명하고, 이를 위 예제에서는 23.236.62.147로 연결하라고 되어 있으나
www 와 동일하게 CNAME설정값으로 입력하면 추후에 wix의 서버IP주소 변경에도 연동이 더 쉬워지는 장점등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NS의 특성상 www등 서브도메인이 없는 도메인명 그 자체에는 CNAME를 사용할 수 없으나, DNSEver에서는 ANAME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CNAME값을 연동합니다.
9. dnsever.com 에 로그인 한 다음에, 도메인을 선택한 다음에
“도메인 별명(CNAME) 관리” 메뉴에서 CNAME 추가 화면에서
“목적지 도메인”란에 위 wix CNAME 설정값을 입력하시고 저장하면 됩니다.
(아래의 예제에서는 www36.wixdns.net 로 되어 있는데, 본인의 도메인에 해당 하는 CNAME 설정값을 위의 단계에서 반드시 확인 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별명”컬럼의 서브도메인 입력란에는 공백/m/www 를 각각 입력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과 같이 CNAME레코드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하시면 도메인명에 대한 DNS설정을 모두 마친 것이 됩니다.
(도메인명이 mydomain.com 일 경우에 mydomain.com, www.mydomain.com, m.mydomain.com 이 wix와 연동 된 것입니다.)
2015년 8월 16일
아마존 AWS ELB(Elastic Load Balancing)와 도메인 연동하기
아마존 AWS ELB(Elastic Load Balancing)와 도메인을 연동하기 위해서는
DNSEver의 도메인별명(CNAME) 및 ANAME기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먼저 ANAME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DNSEver의 새로운 기능 ANAME을 소개합니다(루트 도메인에 CNAME을 지원)을 참고하세요.
ELB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s://aws.amazon.com/ko/elasticloadbalancing/ 의 글을 참고하세요.
ELB와 도메인을 연동하면, 다수의 EC2 인스턴스의 접속에 대하여 부하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AWS ELB와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로그인 후 대시보드에서 EC2를 선택합니다.
2. 왼쪽 메뉴에서 Load Balancers를 선택합니다.
3. 사용할 로드발란서를 생성합니다.
로드발란서 생성시에 위의 예제의 dnsevername 대신에 회원님께서 식별할수 있는 다른 이름을 사용하세요.
4. 위 절차에 따라서 설정하면 로드발란서가 생성이 됩니다.
5. 생성된 로드발란서를 선택하면 하단에 표시되는 “DNS Name”에서 호스트명(A Record)를
DNSEver의 도메인별명(CNAME) 또는 ANAME의 “목적지 도메인”명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복사합니다.
로드발란서의 “DNS Name”은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 테두리가 쳐저 있는 부분입니다.
6. 위의 “DNS Name”을 DNSEver.com 에서 “도메인별명(CNAME) 관리” 메뉴에서 “목적지 도메인”명으로 입력합니다.
위와 같이 AWS ELB에 도메인명에 대한 연동을 마쳤습니다.
회원님의 도메인(위의 예제에서 dotori.wo.tc에 해당하는)으로 다수의 EC2의 인스턴스들과 ELB를 연동함으로써
부하분산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도메인이 많은 사용자를 위하여 다량관리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도메인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에 동일한 서버에 다수의 도메인을 연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파치 가상서버(VirtualHost)를 이용한 웹호스팅이 대표적인 예이죠.
그런데, 서버의 IP를 변경해야 되는 경우에는 수많은 도메인의 IP주소를 변경하기 위하여
수작업을 하느라 불편할 때가 많았는데, DNSEver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많은 도메인의 IP주소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왼쪽 상단에 “다량 관리” 메뉴를 클릭하면, “호스트IP(A) 일괄 작업” 메뉴가 보이는데
이를 이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A레코드를 도메인과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조회하여
다른 IP로 한번에 바꿀 수 있게 됩니다.
아래는 “다량관리 > 호스트IP(A) 일괄 작업” 를 통한 IP 주소 일괄변경의 예입니다.
DNSEver에서는 지속적으로 DNS관리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겠습니다.
혹 필요한 기능이 있으면 저희쪽으로 건의주시면 최대한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8월 14일
ipTIME NAS서버에 독립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
ipTIME NAS서버에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은 공유기에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ipTIME 등 공유기에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을
먼저 참고해보세요.
일반적으로 가정용 네트워크에 ipTIME NAS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공유기의 네트워크 하단에 NAS를 설치합니다.
따라서, 공유기에 DDNS를 설정하고 도메인을 연동하였다면, 그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NAS 를 접속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유기에 연결된 외부 IP를 통하여 NAS가 연결되기 입니다.
하지만, 공유기에 설정된 도메인명과는 별도로 ipTIME NAS에 별도의 도메인을 연동하고 싶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0. 시작하기 전에
ipTIME 공유기 및 ipTIME NAS의 펌웨어 버전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십시오.
구 버전 펌웨어에서는 ipTIME DDNS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공유기 네트워크 하단에 NAS를 설치하고,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합니다.
ipTIME NAS를 ipTIME 공유기 하단에 설치할 경우에 ipTIME 공유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자동으로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줍니다.
만일에, ipTIME 공유기가 아닌 타사 공유기와 연동할 경우에는 ipTIME NAS의 내부IP를 192.168.0.101 과 같은 고정IP로 설정하고
타사 공유기의 관리자페이지에서 포트포워딩르 설정하십시오.
2. ipTIME NAS 관리자 페이지에서 DDNS설정을 합니다.
“서비스 관리” > “ipDISK (DDNS) 서비스” 에서
“서비스 계정”에는 원하는호스트명(예: dnsever.ipdisk.co.kr)을 입력하고
“E-Mail 주소”를 입력하고, “다시 등록” 버튼을 누른 다음에 “적용하기” 버튼을 눌러서
ipTIME NAS 자체의 DDNS를 생성합니다.
3. DNSEver.com의 “도메인별명(CNAME)관리” 메뉴에서 독립도메인과 ipTIME NAS에서 설정한 DDNS를 연결합니다.
DNSEver.com 에서 도메인을 추가하고, 도메인등록업체에서 도메인에 대한 네임서버를 DNSEver의 네임서버로 설정된 상태에서,
“도메인별명(CNAME) 관리” 메뉴에서, 회원님의 도메인(예: mydomain.com)과 ipTIME NAS에 설정한 DDNS(예: dnsever.ipdisk.co.kr)을
연결하면, 외부에서 http://회원님의도메인 으로 접속시에 ipTIME NAS로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ipTIME NAS에 독립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을 마쳤습니다.
위의 설정방법에서 보시면 www가 붙지 않는 루트도메인에 대하여도 도메인별명(CNAME) 설정이 가능한데,
이는 DNSEver.com 에서 ANAME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ANAME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DNSEver의 새로운 기능 ANAME을 소개합니다(루트 도메인에 CNAME을 지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8월 11일
DNSEver의 새로운 기능 ANAME을 소개합니다(루트 도메인에 CNAME을 지원)
DNSEver의 새로운 기능인 ANAME을 소개합니다.
공유기 및 NAS서버에 도메인을 연동하거나, 해외 클라우드DNS 서비스를 연동하기가 더욱 쉬워졌습니다.
* 루트도메인: 용어설명
루트도메인( Origin, naked domain)은 서브도메인이 없는 도메인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회원님의 도메인이 domain.com 이면 www.domain.com 과 같이 www/mail 등의 서브도메인이 붙지 않은
domain.com 을 의미합니다.
* ANAME이란 무엇인가요?
루트도메인에 대한 CNAME을 만들지 못하는 DNS 표준(RFC)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DNSEver에서는 루트도메인에 CNAME 레코드를 만들면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CNAME처럼 동작하게 합니다.
ANAME은 서브도메인이 없는 루트도메인을 “도메인별명(CNAME)관리” 메뉴에서 추가할 때 생성됩니다.
서브도메인이 없는 도메인의 CNAME을 만들면 CNAME 목적지 도메인명을 분석하는데, 목적지 도메인명이 A레코드이면 IP주소로 연결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목적지 도메인의 A레코드의 IP주소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이를 ANAME으로 설정된 레코드에 반영합니다.
* ANAME의 레코드 생성하는 방법
ANAME 레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메인별명(CNAME) 관리”에서 아래의 그림처럼 회원님의 도메인에 대하여 서브도메인명을 비워두고, 목적지 도메인을 입력하면 됩니다.
ANAME 레코드 최초 생성시에는 기존의 레코드의 TTL이 만료되어 갱신될 때까지, 잠시(기존 레코드의 TTL시간에 따라 5분~수시간) 기다리시면 적용됩니다.
“목적지 도메인”명은 연동할 서비스에 맞는 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www가 붙지 않은 루트도메인 옆에는 “ANAME”이라는 마크가 표시되어, ANAME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ANAME 의 활용방법
ANAME은 도메인별명(CNAME)과 함께 사용하여, 공유기/NAS 연동 및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공유기 또는 NAS는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DDNS기능을 제공하는데,
먼저 공유기/NAS의 자체 DDNS를 설정한 다음에, DNSEver의 ANAME과 도메인별명(CNAME)을 이용하여 연동하면 됩니다.
ipTIME 등 공유기에 도메인 연동하기
ipTIME NAS서버에 독립 도메인을 연동하는 방법
wix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와의 연동방법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 제공사에서 서버명을 고정된 호스트이름 방식으로 제공하고, 고정된 IP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의 독립 도메인을 클라우드 호스팅사의 서버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도메인별명(CNAME)을 이용하긴 하지만,
서브도메인이 없는 루트도메인에 대하여는 도메인별명(CNAME)을 연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DNSEver에서는 도메인별명(CNAME)에 www등 서브도메인을 입력하지 않아도 목적지도메인(클라우드호스팅사의 서버명)에 대한 IP주소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A레코드로 치환하여 IP주소로 해석해주기 때문에, 이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제 DNSEver의 ANAME기능을 이용하여, 여러분의 루트도메인과 클라우드호스팅을 “도메인별명(CNAME)”으로 연동할 수 있습니다.